김영관 전광복군동지회장 청와대 발언 > 중앙총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중앙총부

자유게시판 김영관 전광복군동지회장 청와대 발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영 작성일 16-08-14 00:52 조회 87 댓글 0

본문

"건국절 주장은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자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다."
12일 청와대 독립유공자 초청 오찬에 참석한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장(92)은 뉴라이트 등 우익진영 일각에서 주장하고 있는 건국절 제정론을 이같이 반박했다. 김 전 회장은 1940년대 학병으로 일본군에 징집당했다가 탈출한 뒤 광복군에 합류해 중국 장시성 전선에서 활약했다.
김 전 회장은 이날 오찬 행사 모두발언에서 "대한민국이 1948년 8월15일 출범했다고 이날을 건국절로 하자는 일부의 주장이 있다"며 "이는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일 뿐 아니라,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고,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은 1919년 4월11일 중국 상하이에서 탄생했음은 역사적으로도 엄연한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상하이 임시정부 출범일이 대한민국 건국일이라는 얘기다.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도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돼 있다.
김 전 회장은 "왜 우리 스스로가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독립투쟁을 과소평가하고, 국난시 나라를 되찾고자 투쟁한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고 그랬다. 우리의 쓰라리고 아팠던 지난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과 내일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회장은 "광복군 창설일인 9월17일을 국군의 날로 하는 것이 합당하다"며 현행 10월1일인 국군의 날 변경, "다짐의 행사 없이 이 날을 무관심하게 지내고 있다"며 국치일(8월29일)의 기념일 제정 등 필요성을 개진했다.
그는 "이런 조그마한 기념일을 거론하는 것은, 호언장담이나 거대담론을 앞세울 것이 아니라 주위에 있는 작은 것, 모순된 것부터 하나하나 시정해 실천에 옮겨야 한다는 차원에서 드리는 말씀"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mosigo.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모시고넷 / 천도교 청구교구
(우) 286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율로 92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