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전체검색 결과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1개
  • 게시물491개
  • 25/50 페이지 열람 중
상세검색

중앙총부 게시판 내 결과

  • 「총. 균. 쇠」란 무엇인가? (6 -2)-중략- 우리 사회의 병리현상 중에서 그 의미가 부정확(不正確)하고 편중(偏重)되거나 편향적(偏向的)인 언어나 지식 그리고 역사적인 사건에 대하여 신중하지 못한 사고행태(思考行態)와 해석과 언어사용으로 인하여 수많은 갈등을 초래하여 사회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사회의 불안을 초래하는 잘못된 언어 사용과 불확실한 지식의 남용(濫用)을 우리 사회는 가볍게 여기고 있다. 그 결과, 사회는 더 많은 갈등과 불안을 초래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그 누구도 의심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언어와 역사적 사…

  • 「총. 균. 쇠」란 무엇인가? (6 -1)/ GUNS, GERMS. AND STEEL / 武器, 病菌, 金屬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천도교 홈에 게재된, 본인의 모든 글과 동학, 천도교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은, 모두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 카페(http://cafe.daum.net/oamdonghak)의 김 용천 자료실과 교리, 교사 연구 논문과 학술논문 자료실에 게재되어 있사오니, 자주 방문하시어 많이 읽어주시고, 교단발전에 널리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알림 ; 방문자 여러분의 연구소 방문은, 필자의 카페주소인, …

  • 종문심법(宗門心法)이란 무엇인가. / 각 종 교사의 기록을 바탕으로 살펴봅니다. /포덕 145(2004)년 11월 28일에 천도교 관련 각 게시판에 게재되었던 것을 재 게재함. 천도교 홈에 게재된, 본인의 모든 글과 동학, 천도교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은, 모두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 카페(http://cafe.daum.net/oamdonghak)의 김 용천 자료실과 교리, 교사 연구 …

  • 正 水月執義春이란 무엇인가? (下) 九. 計劃的分離運動 合同當時極力反對하든한사람으로 合同後敬道觀正의倚子를 차지하엿스나 舊派一部에서獨權하든때와갓치 모든일을마음대로하지못하는것을 怏怏不滿(자기가 원하는 마음에 차지 않는 다고 불만을 드러내는 것.)이녁이든李鐘麟氏는 以上法文運動이 또한新派의猛烈한反對에 成功하지못할것을알고 마츰내敬道觀正의任을辭하고 私行으로떠나 地方敎人을直接遊說하며 한편으로는通信을 發하야 分離運動을니르켯으나 그亦是失敗에도라가매 할수업시 手下(하수인.)一部敎人을대리고脫退하엿으니 垓城一隅(변방 한 귀퉁이에 있는 보잘 것 …

  • 正 水月執義春이란 무엇인가? (上) 천도교 홈에 게재된, 본인의 모든 글과 동학, 천도교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은, 모두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 카페(http://cafe.daum.net/oamdonghak)의 김 용천 자료실과 교리, 교사 연구 논문과 학술논문 자료실에 게재되어 있사오니, 자주 방문하시어 많이 읽어주시고, 교단발전에 널리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알림 1; 이미 ‘종문심법(宗門心法)이란 무엇인가.’를 재 게재하면서 알림 1. 에서 예고한 대로 포덕 150(2009)년 1월 22 일에 게재했던 ‘正 水月執義春…

  • 주문(呪文) 수련에 대한 단상(斷想)(4) 현재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발전에 있어,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예측할 수가 없는 사회와 시대가 되어 ‘불확실성(不確實性)의 시대(時代)’라면, 우리사회가 이미 자정능력(自淨能力)을 상실됐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기(至氣)의 균형(均衡)과 조화(調和)가 깨져 비정상(非正常)의 사회가 됐다는 것이다. 천도의 핵심은 균형과 조화이다. 공자는, 군자를 예악(禮樂)에 능하며 즐기는 사람이라 했다, 예악(禮樂)에 능하며 즐긴다는 것은, 지기(至氣)의 균형(均衡)과 조화(調和)가 잘 갖추어져 있다는…

  • 주문(呪文) 수련에 대한 단상(斷想)(3) 천도교의 교의적인 사상과 신념의 실현이, 바로 근대사에 빛나는, 갑오동학혁명, 갑진개화운동, 기미독립운동. 이라는 3 대 운동을 통하여, 봉건사회에서 근대사회에로의 전환기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적인 전환(轉換)을 교단과 천도교 청우당이 조선총독부의 전대미문(前代未聞)의 가혹(苛酷)한 감시(監視)와 통제(統制) 속에서도 300여 만 명의 교도를 가진 대 교단으로서 굴복(屈伏)하지 않고, 당당(堂堂)히 민중에 앞에 서서 종교와 사회문화운동을 이끌었던 것을, 한국의 근대사가…

  • 주문(呪文) 수련에 대한 단상(斷想)(2)註 05; 공자(孔子; K'ungtzu,); 기원전 551년 출생 기원전 479년 사망.) 중국 춘추시대의 교육자· 철학자· 정치사상가, 유교의 개조(開祖). 공부자(孔夫子)라고도 한다. 본명은 공구(孔丘). 자는 중니(仲尼). 그의 철학은 동아시아 전 문명권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유교의 역사는 공자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다. 부처는 불교의 창시자이고 예수는 그리스도교의 창시자이지만 공자는 엄밀히 말해 유교의 창시자가 아니다. 공자는 자기 자신을 '옛 것을 살려 새로운 것을 알게 하는'…

  • 주문(呪文) 수련에 대한 단상(斷想)(1) / 단상(斷想); 때에 따라 떠오르는 단편적 생각. 또는 그 생각을 적은 글. 천도교 홈에 게재된, 본인의 모든 글과 동학, 천도교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은, 모두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 카페(http://cafe.daum.net/oamdonghak)의 김 용천 자료실과 교리, 교사 연구 논문과 학술논문 자료실에 게재되어 있사오니, 자주 방문하시어 많이 읽어주시고, 교단발전에 널리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천도교 朴南守 교령님은 2014년 (포덕155년) 3월16일 대전교구에서 “盛運의 時代를 맞이하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설교를 하시였다. 또한 東經大全 流高吟 중 “流水不息 百川都會之意”(흐르는 물이 쉬지 않은 것은 모든 시내를 모으려는듯) 를필하여 대전교구에 남기였다. 경전 “吾道之運” 편을 봉독후 甲午年의 역사에 따라 山河大運이 盡歸此道하고 있다는 교령님 설교에 교인된 자긍심을 갖게하였다.도생은 流高吟 내용을 새롭게 인식하고 경전공부에 노력할것을 다짐하였다. 대전 송암 김인선

Copyright © mosigo.net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모시고넷 / 천도교 청구교구
(우) 286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율로 92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