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역사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4개
  • 게시물 989개
  • 75/99 페이지 열람 중

중앙총부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전북도민일보2017년 2월 17일 금요일(인터넷판 2월 16일)opinion 오피니언, 아침의 창 동학농민혁명 일본현지조사에 대한 소감 이윤영/동학혁명(백주년)기념관장 동학농민혁명 일본지역 현지조사에 대한 답사를 지난 1월, 동학·천도교 소속의 연구자를 중심으로 5박6일의 일정으로 다녀왔다. 일본답사의 목적은 ‘첫째-동아시아와 함께하는 동학농민혁명 시선의 확장. 둘째-동학농민혁명의 올바른 이해를 통한 한일관계의 새로운 조명. 셋째-동학농민혁명을 통한 21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적 조명’이라 정…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10)천도교 홈에 게재된, 본인의 모든 글과 동학, 천도교와 관련된 방대한 자료들은, 모두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 카페(http://cafe.daum.net/oamdonghak)의 김 용천 자료실과 교리, 교사 연구 논문과 학술논문 자료실에 게재되어 있사오니, 자주 방문하시어 많이 읽어주시고, 교단발전에 널리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알림 ; 방문자 여러분의 연구소 방문은, 필자의 카페주소인, 오암 동학사상 연구소(http://cafe.daum.net/oamdonghak)를 클릭하여 ‘김 용천 자료실’…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9) 白重彬은 「天道敎와 人間」의 二. 天道敎의 中心問題에서 천도교의 중심문제란 천도교 신앙의 목적을 의미하는 것으로 신앙의 목적과 핵심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天道敎의 中心問題는 人間魂把持라하야도 過言이아니다. 水雲大神師께서 至今으로부터 七十餘年前에 當時의 朝鮮社會릉 굽어보셧다. 그때의 政治를 돌아보니 李朝時代의 絶對專制政治이다. 當時의特權階級그者는 많은 生民을 弄絡又는 自己네들의 私腹을 채우는 한道具로 삼앗다. -중략- 사람과 사람의關係 사람과 社會와의關係 사람과 自然과의關係 사람과물건과…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8) 위에서 임형진이 설명하고 있는 내용을 당시의 국내외적으로 매우 어려운 역경 속에서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고 보고, 좀 더 구체적으로 교단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첨가 설명을 한다면 저자의 의도와는 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이런 내용이 될 것이다. 이돈화는 수운의 사상 속에서 인내천의 종지화를 이룸으로서 근대적 종교의 중심체계를 갖추었고 천도교를 제도화시키는데 기여했다. 고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돈화는 분명 종교이론가였지만 동학 천도교의 전통인 교정쌍전론에 가장 충…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7) 한 때는 천도교가 대체종교(代用/代替 / surrogate/ alternative religion)와 참여종교(參與宗敎 / involvement religion,)라고 暗示的으로 보여주었을 때 상황과는 너무나 동떨어져 있었다. 그런데 세계종교학과 사회학계에서는, 앨빈 토풀러에서 시작된 3의 물결에서 6물결까지 급속히 변하고 있는 시대적 상황을 수용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7물결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協業的(co-operative work)이고 融合的(fusion…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6) 이 “天道敎의 政治理念”은 포덕 110(1969)년 3월 20일에 초판으로 新人間社에서 간행된 “南北分裂沮止(鬪爭 / 三一再顯運動誌”의 附錄(PP. 209-246)에 원본에서 상당부분이 수정된 수정본(修訂本)이 게재되어 있다. 刊行者가 三一再顯運動의 시대적 배경과 교단의 형편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 자료로서 ‘天道敎政治理念’을 부록으로 게재하였기 때문에, 간행자의 개인적인 생각이 많아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내용의 첨삭(添削)의 정도(程度)가 너무 심하여 원작(原作)의 의도(意圖…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5) 남쪽에서는 천도교 청우당의 강제 해산, 북쪽에서는 三一再顯運動과 靈友會事件으로 참화를 겪은 지 불과 2년이 지나자, 우리 民族의 大慘事인 同族相殘의 6.25動亂이 勃發하게 되어 교단은 회복할 기회를 잃게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解放空間에서 교단이 얼마나 노력했는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것이 1947년에 간행된 『天道敎 政治理念』이다.이 『天道敎 政治理念』은 布德 八十八年 四月 三日에 普成社에서 인쇄, 동년 四月 五日에 天道敎總本部 知道觀 이 編輯하여 普成社 出版部에서 발행한 小冊子로 포켓용…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4) 허 수는 『新人哲學』과 『東學之人生觀』의 사상적 변천으로 인한 틈이 벌어지게 된 저변에는 ‘현상즉실재론’ 수용에 대한 자기비판이 놓여 있었다. 고 했다. 그로 인하여 ‘종교의 철학화, 그리고 神을 ‘實在’로 파악하는 이전의 ‘철학’적 관점은 自己否定을 겪었다. 이는 곧 1910년대 이래 이돈화의 사상적 전개를 지탱해 왔던 종교적 계몽의 해체를 의미했다.’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하여 허 수의 위와 같은 평가가 있기 40여 년 전인 1963년에 『新人哲學』과 『東學之人生觀』을 합본 중간하면서 …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3)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당의 방향이 청년당의 기본 목적에 따라 3대 개벽과 지상천국건설의 방향이나 내용이 변하게 된 상황과 변천한 내용이 『天道敎靑年黨小史』에 기술되어 있다. 창당 10주년을 맞은 시대적 상황과 교단의 대내외적인 변화를 수용하여 신문화운동에 매진하려 했던 시기가 1935년을 전후한 시기였다. 그러므로 30년대의 변화를, 천도교가 有機的 前衛體를 組織하여 天道敎靑年黨의 운동을 통하여 실현하려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면, 천도교의 30년대의 변화를 의심없이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 夜雷 李敦化의 生涯와 思想(10-2) 甲辰革新運動의 顚末(나의 半生續) 夜雷. 천도교회월보 통권 253호/1932.1월호 에서는 甲午運動의 失敗로 인한 고통과 戊戌六月에海月神師의 慘刑으로 東學黨은 북으로 올라가 큰 勢力을 펼치고 있을 지음 第 3世 敎祖인 義菴聖師의 日本 滯留라는 時代的 狀況과 교단내의 情況을 설명하고 있다. 急變하는 周邊國家의 潮流에 對處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李仁淑으로 하여금 당시 議政大臣 尹容.善에게 보낸 상소문 전문을 게재하고 있다. /PP.48-52.라고 기록하고 있는 야뢰의 글을 보면서 甲午東學革命이…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모시고넷 / 천도교 청주교구
(우) 286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율로 92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4,556
어제
4,981
최대
5,450
전체
1,363,025
Copyright © mosigo.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