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결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결과

상세검색

역사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4개
  • 게시물 989개
  • 79/99 페이지 열람 중

중앙총부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7. 동학의병항쟁총기포 * 이윤영 저술 원본, 동학농민혁명 다큐, 역사소설 '혁명'의 전체 줄거리에서 '동학의병항쟁총기포' 내용중 일부를 올립니다. 원본 전체는 편집과정을 거처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에서 책으로 출간할 예정입니다.동학혁명기념관장 송암심고. (상략)해월선생의 전국총기포령은 청산에서 9월 18일(양.10.16) ‘민심(民心)은 천명(天命)이라’는 말씀과 함께 내려진다. 최법헌은 무릎을 꿇고 대열 앞에 모신 청수(淸水-정화수)를 향해 깊은 심고(心告-기원)를 올린다. 시간이 한참 지나자, 지그시 감은 눈을 뜨고…

  • "전두환에게 5·18이 그렇듯, 그대에게 세월호는 죽을 때까지 따라다닐 멍에"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구속 소식을 접한 역사학자 주진오 상명대 교수가,박 전 대통령에게 부치는 편지 형식의 글을 통해 그 역사적 의미를 전했다. 박근혜 정권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을 저지하는 데 앞장서 온 주 교수는31일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그대를 위한 기도는 내 생애 처음입니다.그토록 당신이 구속되기를 바랐지만, 막상 그 모습을 보면서 기쁘면서도 한편으로착잡함과 연민을 느꼈지요"라고 운을 뗐다…

  • 경기 3.1운동 기념 사업회 [정관] 제 1 장 총 칙 제 1조 [설립 근거 및 명칭] 이 「경기 3.1운동 기념 사업회」는 1919년 3월 30일 화성 발안장 터 만세시위운동에 따른 보복인 일제의 4월15일 방화 ‧ 학살 만행으로 희생된 화성시 제 암리‧고주리‧수촌리‧기천리(마도)지역의 선열님들의 넋을 기리고 과거를 잊고 오늘만을 위해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서릿발 진 위에선 역사와 한 발 제겨디딜 곳 조차 없는 벼랑 끝에 선 민족정 신을 일깨우기 위한 사업회 정관에 따라 설립되며 이 사업회는 경기 3‧1운동기념 사업…

  • 천도교 중앙총부 공지사항에서 kbs1tv에서 4월6일 6시내고향 방영시간에 강북구 우이동 봉황각편이 방영된다고 해서 만사를 제쳐놓고 우이동 봉황각이 의암(손병희)성사께서 3.1독립운동의 민족대표들을 길려낸 산실이라는 것이 전 국민들에게 밝혀지기를 간절이 바라는 마음에서 tv보림을 높혀 시청을 하였으나, 봉황각이 언제 건축되었다는 것만 알릴뿐, 무었때문에 건축되어 어떤역활을 하였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어 실망하였습니다.지난번에 교령께서 정부기관에 봉황각이 서울시 문화재가 아닌, 대한민국 문화재로 승격되어야 한다고 건의한 줄로 알고 …

  • 수유동에 새로운 근현대사 학습장동학운동부터 4.19까지 근현대사기념관 지난 17일 개관 토요일인 지난 21일 오후 북한산 등반을 마친 주민들이 근현대사기념관을 찾아 상설전시실에서 역사 자료들을 관람하고 있다. 장수선 인턴기자 grimlike@hani.co.kr 1912년 일제강점기 시절 의암 손병희 선생이 국권회복을 위해 세운 '봉황각'은 근현대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않은 문화재 가운데 하나이다. 천도교 지도자들을 길러내던 이곳은 훗날 3.1운동의 구상을 비롯해 운동의 주체로 활동하는 많은 지도자들을 배출…

  • ★제158년 천일기념일 공연 : 영상 보기 *출 연 : ●역사음악연구소 예술(음악)단원 ●부산예술대학교 "난타" 팀 *링크 주소 = https://youtu.be/QbFH3DUlcAg

  • 모시고 안녕하십니까.4월 13일 오후에 전주 동학혁명기념관에서 '동학에서 리더십을 배우다'란 제목으로 우석대학교 70명이 1층 전시관 관람과 기념관장 해설 및 2층 전주교구에서 강연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제목: 동학에서 리더십을 배우다강사: 이윤영/동학혁명기념관장장소: 전주 동학혁명(백주년)기념관일시: 포덕 158(2017)년 4월 13일 오후 2시~5시대상: 우석대학교 최정순 교수, 김태희 학생대표 등의 리더십 교양과목 학생 70 여명(학점반영)강의: 1층 전시관에서 1시간 관람, 2층 교구에서 …

  • 장흥 천도교당은 원래 1906년 4월에 동학의 후예인 교구장 강봉수(姜琫秀) 등이 중심이 되어 천도교인에게 모금운동을 전개하여 지어졌다. 천도교장흥군교구역사〉와 교당 내부에 걸린 〈교구실기(敎區室記〉(1920년)를 통하여 당시 개축에는 전남의사원(全南議事員) 신명희(申明熙), 장흥교구장 김재계, 수령 강봉수, 윤세현 등이 주도하였다는 것과 1917년(포덕오십육년정사(布德五十六年丁巳) 11월부터 한달여에 걸쳐 2,300원(圓)을 모금하여 1918년 2월 15일에 건축을 시작하여 6개월만인 8월 26일 준공한것 그리고 건축 실비가 1,…

  • 안성에서 일어났던 원곡, 양성 독립운동은 평안북도 의주군, 황해도 수안군과 함께 민족대표 33인이 재판에도 인용될 만큼 격렬했던 3.1운동 3대 실력항쟁지이다. 특히 다른 지역과 연결, 조직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닌 농민들이 주축이 되어 전 주민이 참가했던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의를 두고 있다. 3.1운동의 역사를 되새기고, 안성지역의 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기위한 이 지역의 성역화사업으로 안성 3.1운동기념관을 건립하였다. 이 기념관은 후손과 후학들에게 국가와 민족과 동포가 무엇인가를 일깨우고, 자랑스런 선열…

  • 전북도민일보2017년 5월 22일 월요일(인터넷판 5월 21일)opinion 오피니언, 아침의 창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헌법전문에 담을 것을 제안한다. 이윤영/동학혁명(백주년)기념관장 "동학농민혁명은3·1독립운동으로,3·1운동은임시정부로,그리고 4·19혁명과5·18민주정신으로계승되었다" 다시 오월이다. 오월의 산야는 푸른 잎들과 예쁜 꽃들이 저마다 싱그러움과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금방이라도 아카시아 향기가 코끝을 스치고 붉은 장미가 가슴에 안기려 한다. 도시를…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모시고넷 / 천도교 청주교구
(우) 28604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율로 92

  • 게시물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4,528
어제
4,981
최대
5,450
전체
1,362,997
Copyright © mosigo.net All rights reserved.